MPEG 프로그램 스트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PEG 프로그램 스트림은 공통 시간 기준을 공유하는 하나 이상의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을 단일 스트림으로 결합하여 생성된다. 이는 디스크와 같이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가변 크기 레코드와 시작 코드의 최소한의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 MPEG-2 프로그램 스트림은 MPEG-1 및 MPEG-2 비디오 및 오디오, 그리고 MPEG-4 비디오 및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표준 데이터를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 스트림은 팩 헤더와 시스템 헤더로 구성되며, 헥사 에디터로 파일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MPEG-2 - H.262/MPEG-2 파트 2
H.262/MPEG-2 파트 2는 디지털 TV 및 DVD 등에 사용되는 영상 압축 표준으로, HDTV 카메라의 비압축 영상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다양한 화면 샘플링 기술을 활용하며, DVD-Video, HDV, XDCAM 등에서 활용된다. - MPEG-2 -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디지털 방송 및 저장 매체에서 오디오, 비디오 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형식이며, 패킷, PID, PSI 등으로 구성되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한다. - MPEG - ATSC
ATSC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표준을 개발하는 미국 기관으로, 1996년 ATSC 1.0 표준이 채택된 후 H.264 코덱을 지원하는 개정판이 승인되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디지털 방송 전환에 사용되었으나 특허 문제와 기술적 한계, 국가별 적용 차이 등의 이슈가 있고, 최근에는 ATSC 3.0이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다. - MPEG -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2)는 디지털 오디오 압축 표준으로, 디지털 오디오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디지털 비디오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MUSICAM 오디오 코덱을 기반으로 하고, MP3와 비교하여 시간 해상도가 높고 오류에 대한 강인성이 강한 특징을 가진다. - ITU-T 권고 -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은 전화선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빠른 비대칭적인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로, 주파수 분할 이중 방식과 이산 다중톤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거리와 잡음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광섬유 인터넷의 발전으로 서비스가 축소되고 있다. - ITU-T 권고 - 팩시밀리
팩시밀리는 문서나 그림을 전기 신호로 원격 전송하고 복제하는 기술 및 장치이며, 유선, 무선, 전화선을 이용한 전송 방식으로 발전해왔고, 기술적 분류를 거쳐 소형화, 고속화되었으며, 21세기에는 사용량이 감소했으나 특정 분야에서 활용된다.
MPEG 프로그램 스트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일반 정보 | |
파일 확장자 | .mpg, .mpeg, .m2p, .ps |
MIME 형식 | video/MP2P, video/MP1S, video/mpeg |
유니폼 타입 | public.mpeg |
개발 | MPEG |
발표일 | 1993년 8월 |
최신 버전 발표일 | 2019년 6월 |
종류 | 컨테이너 형식 |
포함 내용 |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
확장 형식 | VOB, EVO, MOD |
표준 | ISO/IEC 11172-1, ISO/IEC 13818-1, ITU-T H.222.0 |
개방 여부 | 예 |
사용료 | 예 |
기술 정보 | |
컨테이너 대상 |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
2. 코딩 구조
프로그램 스트림은 공통의 시간 기준을 갖는 하나 이상의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 (PES)을 단일 스트림으로 결합하여 생성된다. 이는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있는 MPEG 전송 스트림과 달리, 하드 디스크와 같이 비교적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를 위해 설계되었다. 프로그램 스트림은 가변 크기 레코드와 시작 코드의 최소한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여 오버헤드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